티스토리 뷰
[주휴 수당] 조건 및 계산법 알아봅시다
우리들은 노동의 대가로 돈을 받아봅니다. 보통 최작은임금 이상을 받게 되죠. 저희가 일하고 받는 금액이 일한 시간과 시급을 곱한 <값>과 일치하도록 할께요? 답은 그럴 수도 있고, 아닐 수도 있네요. 바로 [주휴 수당]이 있기 때문이지요..
[주휴 수당]이란 1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"근로자"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이지요.. 즉, 주휴일은 쉬는 날이지만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..
회사에 소속된 "근로자"[Full time job]도 받을 수 있지만 알바생[part time job]도 조건을 충족하면 [주휴 수당]을 받을 수 있네요. [주휴 수당] 조건 또 계산법을 알아 보도록 할께요.
[주휴 수당]을 받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.. 주5일 근무라 한다면 하루 3시간 이상은 근무해야 [주휴 수당]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.
그렇답니다면 [주휴 수당]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
[주휴 수당] = [일주일 일한 시간/40시간] X 8시간 X 시급
위와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지요. 복잡하신 분들은 알바천국 [주휴 수당] 계산이기를 이용해보시길 바래봅니다.
http://www.alba.co.kr/campaign/Culture10.asp [알바천국 [주휴 수당] 계산이기 링크]
일주일에 15시간 일하고 시급이 1만원이라 가정하고 계산해보니 3만원이 나오지요. 여태까지 [주휴 수당] 조건 또 계산법을 알아봤습니다.
학생이거나 알바생일 경우 <고용>주가 [주휴 수당]을 지급하지 않으려는 경우가 있네요. 그럴 경우 <고용>노동부 homepage에서 [주휴 수당] 미지급 신고를 할 수 있으니 참고 하시길 바래봅니다.
'인생의히든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양도소득세 면제조건 모두 정리해보았습니다. (0) | 2020.05.17 |
---|---|
진에어 예약 좌석 직접선택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직접 (0) | 2020.05.17 |
지네 나오는 꿈 해석 해몽 상황별 총정리 (0) | 2020.05.17 |
모바일상품권 현금으로 바꾸는 방법 간단정리 (0) | 2020.05.17 |
오버워치 닉네임 변경하는 방법 간편하게 해결가능 (0) | 2020.05.16 |